정렬 알고리즘 종류
정렬 알고리즘은 그 특지엥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비교 정렬
비교 정렬은 원소들을 정렬할 때 원소들의 순서에만 의존하는 알고리즘들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거품 정렬(bubble sort)은 비교하는 원소들이 숫자거나, 문자열이거나, 심지어는 복잡한 객체에 대해서도 순서가 결정되어 있다면 적용할 수 있다.
비교 정렬 알고리즘들은 아무리 빨라도 최악의 경우 Ω(nlogn)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이 알고리즘들을 결정 트리의 형태로 기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증명할 수 있는데, {\displaystyle n}개의 원소들의 순열은 n!가지로 이들을 잎 노드로 가지는 결정 트리의 깊이는 스털링 근사에 따라 적어도 [logn!] ≒nlogn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비교 정렬이 아닌 알고리즘들은 이런 시간 복잡도의 제약이 없지만, 대신 다른 제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수 정렬은 사전순으로 표기하고 분리하기 쉬운 숫자나 문자열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객체들에 대해서는 일반 비교 정렬보다 느릴 수 있다.
제자리 정렬
제자리 정렬은 원소들의 개에 비해서 충분히 무시할 만한 저장 공간만을 더 사용하는 정렬 알고리즘들을 의미하며, 제자리 알고리즘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삽입 정렬은 이미 주어진 원소들을 옮긴 뒤 적절한 위치에 원소를 삽입하는 연산을 반복하는데, 이 과정에서 원소들을 담는 공간 외에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은 옮겨지는 원소가 저장되는 공간과 루프 변수 정도에 불과하다.
퀵 정렬은 제자리 알고리즘의 정의에 따라서 제자리 정렬로 분류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퀵 정렬은 재귀적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스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스택의 깊이는 {\displaystyle n}개의 원소에 대해 {\displaystyle \Omega \left(\log n\right)}에 비례하므로 전체 공간 복잡도는 상수가 아니다. 하지만 실용적인 의미에서 퀵 정렬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만을 더 사용하기 때문에 흔히 제자리 정렬로 기술된다.
온라인 정렬
온라인 정렬은 모든 원소들이 처음부터 주어지지 않고 차례대로 들어 오는 경우도 처리할 수 있는 정렬 알고리즘을 의미하며, 온라인 알고리즘에 해당된다. 대표적으로 합병 정렬은 이미 정렬된 여러 개의 부분 리스트를 관리하다가 매 원소가 들어 올 때마다 적절한 리스트에 추가하고 필요하면 리스트들을 합병하는 식으로 온라인 정렬로 만들 수 있다.
저명한 정렬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의 수는 많지만 실용적인 구현체의 경우 일부의 알고리즘들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작은 데이터 집합의 경우 삽입 정렬이 널리 사용되는 반면 큰 데이터 집합의 경우 점근적으로 효율적인 정렬이 사용되며 여기에는 주로 힙 정렬, 합병 정렬, 퀵 정렬이 있다. 효율적인 구현체들은 일반적으로 '정렬 전반을 위한 점진적으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재귀 하한의 작은 리스트들을 위한 삽입 정렬'과 병합한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상당한 튜닝을 거친 구현체들은 안드로이드, 자바, 파이썬에 쓰이는 타임소트(합병 정렬, 삽입 정렬, 추가 로직), 일부 C++ sort 구현체와 닷넷에 (여러 형태로) 쓰이는 인트로소트(퀵정렬과 힙 정렬) 등 더 복잡한 종류를 사용한다.
고정 간격의 숫자와 같은 더 제한된 데이터의 경우 계수 정렬이나 기수 정렬과 같은 분산 정렬이 널리 쓰인다. 거품 정렬과 같은 종류들은 실제로는 드물게 쓰이지만 교육 및 이론 토론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물리적으로 객체를 정렬할 때(예: 논문, 테스트, 책을 알파벳 순으로 정리) 사람들은 작은 집합에 대해 직관적으로 삽입 정렬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큰 집합의 경우 사람들은 보통 이니셜 문자와 같은 최초 버킷을 사용하며 매우 큰 집합의 경우 여러 버킷을 사용하는 것이 정렬에 실용적이다. 이를테면 객체들을 바닥 위나 넓은 공간 위에 퍼트려놓는다든 방식으로 공간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 특히 객체를 먼 공간으로 움직이는 등의 조작에 대한 비용은 높아지게 되므로 참조의 지역성은 중요하다. 합병 정렬은 특히 두 손을 사용하는 등 물리적인 물체를 다루기 실용적인 반면 힙 정렬이나 퀵 정렬 등 다른 알고리즘들은 인간이 직접 사용하기에는 적절치 않다. 공간을 남기는 삽입 정렬의 변종인 라이브러리 소트 등의 다른 알고리즘들 또한 물리적 이용에 실용적이다.
단순 정렬
가장 단순한 정렬 중 삽입 정렬과 선택 정렬이 있으며 이 둘 모두 낮은 부하로 인해 작은 데이터에 효율적이지만 큰 데이터에는 효율적이지 않다. 삽입 정렬은 대부분 정렬된 데이터에 대해 비교를 덜 하고 성능이 좋은 이유로 일반적으로 선택 정렬보다 현실적으로 더 빠르기 때문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나 선택 정렬은 쓰기를 덜 하므로 쓰기 성능에 제약이 있는 환경에 사용된다.
효율적인 정렬
실용적인 일반 정렬 알고리즘들은 평균 시간 복잡도(및 일반적으로 최악의 경우의 복잡도) O(n log n)의 알고리즘에 기반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중 가장 흔한 것이 힙 정렬, 합병 정렬, 퀵 정렬이다. 제각기 장단점이 있으며, 단순 합병 정렬의 구현체는 O(n) 추가 공간을 사용하며 단순한 퀵 정렬 구현체는 O(n2) 최악의 경우 복잡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 문제들은 더 복잡한 알고리즘의 비용으로 해결되거나 개선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들이 다양한 수정이 수반되는 실생활 데이터를 기준으로 랜덤 데이터에 점근적으로 효율적이다. 첫째로, 이 알고리즘들이 일으키는 부하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일수록 중대한 까닭에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이 사용되기도 하며 데이터가 충분히 작으면 보통 삽입 정렬로 전환된다. 둘째로, 알고리즘은 이미 정렬된 데이터나 거의 정렬이 마무리된 데이터에 대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알고리즘들은 실생활 데이터에 일반화되어 있으며 대략적인 알고리즘들에 의해 O(n) 시간으로 정렬이 가능하다. 끝으로, 이 알고리즘들은 불안정 정렬에 속할 수 있는데 정렬 시 안정성은 바람직한 속성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타임소트(합병 정렬 기반) 또는 인트로소트(퀵 정렬 기반으로, 필요 시 중간에 힙 정렬로 변경됨)와 같은 더 복잡한 알고리즘들이 적용되기도 한다.
'자료구조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색 알고리즘 (0) | 2021.09.16 |
---|---|
시간 복잡도 차트 (0) | 2021.09.16 |
백트래킹 (0) | 2021.09.16 |
스택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