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ymeleaf의 특징
- 코드 자체가 브라우저에서 동작 (JSP 는 동작X)
- HTML 마크업의 형식을 깨지 않고 논리 코드 작성 가능 (JSP처럼 if 같은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음)2.x의 치명적인 단점
- 태그를 열면 반드시 태그를 닫아주어야 하는 불편함 (ex. <br> </br>) -> 3.x 에서 개선됨스프링 부트 thymeleaf viewName 매핑 (스프링부트 메뉴얼 참고하여 prefix, suffix 수정 가능)
resouces: templates/ + {Viewname}+.html폴더 역할
static -> 정적 파일 (ex. index.html)
templates -> 템플릿엔진을 통해 렌더링해야할 파일 (ex. hello.html)spring-boot-devtools 의존성 추가
서버 재구동 없이 특정 템플릿만 다시 컴파일하여 수정 반영해주는 도구
'#개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boot-devtools (0) | 2025.10.08 |
|---|---|
| H2 Database (0) | 2025.10.08 |
| 프랙티스 가이드 (0) | 2025.10.08 |
| [환경설정]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의 기본 의존성 (0) | 2025.10.03 |
| spring 개발 작업 (0)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