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헙을 코드 리뷰에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리파지터리입니다.

대부분은 Pull Requests를 사용해 코드 리뷰를 할 수 있으며,
기존에 존재하는 리파지터리가 없거나 개인이 진행하는 코드인 경우라면, 커밋 히스토리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뭐가 좋은가?

  1. 사용하기 간편하고, 금방 익힐 수 있습니다.
  2. 코드 리뷰를 위한 툴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3. 온라인으로 잘 정돈된 코드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4. 라인 단위로 댓글을 달아 리뷰할 수 있습니다.
  5. git 또는 github을 익힐 시간이 정말 부족하다면, 그냥 온라인에서만 작업할 수도 있습니다.

Pull Requests로 리뷰하기

공동 작성하고 있는 코드이거나, 이미 코드가 있는 과제에 적합합니다.

  1. 리뷰어(Reviewer)는 먼저 원본 리파지터리를 준비합니다.
  2. 리뷰받는 사람(reviewee)은 원본 리파지터리를 Fork합니다.
  3. 리뷰받는 사람은 작업을 마친 후, 커밋한 코드를 Pull Requests합니다.
  4. 리뷰어는 Pull Requets 메뉴에서 요청온 코드를 리뷰해줍니다.

(Tip)
팀 내 공동 과제이거나 교육을 위한 과제처럼 여러 사람을 위한 리뷰라면,
요청받은 커밋을 머지하지 않고, 해당 요청을 Close합니다.
과제 코드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리뷰받는 사람은 close 된 다른 사람의 리뷰 히스토리를 참고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Commits 히스토리로 리뷰하기

개인이 혼자 진행하는 과제 또는 프로젝트인 경우에 적합하며,
Commits 메뉴의 커밋 히스토리에 댓글을 다는 방식으로 리뷰합니다.

  1. 리뷰받는 사람이 직접 자신의 리파지터리를 생성하고 작업합니다.
  2. 리뷰받을 코드를 커밋하고, 리뷰어에게 리뷰받을 커밋 히스토리의 링크를 전달합니다.
  3. 리뷰어는 Commits 히스토리 페이지에서 코드를 리뷰해줍니다.

(Tip)
Commits 메뉴에서는 각 커밋에서 변경한 코드만 볼 수 있습니다.
작업한 전체 내용을 리뷰 받으려면, 작업이 최종 완료된 후에 커밋합니다.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Ops와 CI/CD  (0) 2021.06.13
우리팀 Confluence 사용하는 법  (0) 2021.04.19
JIRA의 scrum보드 활용법  (0) 2021.04.15
Jira를 통해 스크럼 관리하기  (0) 2021.04.15
애자일 Scrum(스크럼) 이해하기  (0) 2021.04.15

INNER JOIN과 OUTER JOIN의 차이

중복이 없는 컬럼에 대한 조인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경우를 가정한다면
A와 B의 inner join은 A와 B의 교집합이 됩니다.
A와 B의 outer join은 A와 B의 합집합이 됩니다.

예제

다음과 같이 각각 단일 컬럼을 가진 두개의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하고 데이터가 다음과 같을 때

A    B
-    -
1    3
2    4
3    5
4    6

A에서 유일한 값은 (1,2)이고 (3,4)는 동일한 값으로 같고 (5,6)은 B에 대해서 유일한 것에 유의해서 생각해 봅시다.

Inner join

select * from a inner join b on a.a = b.b;
select a.*, b.* from a,b where a.a = b.b;

a | b
--+--
3 | 3
4 | 4

Left outer join

Left outer join의 결과는 A의 모든 행과 B에서 같은 행을 다음과 같이 표시할 것입니다.

select * from a left outer join b on a.a = b.b;
select a.*, b.* from a,b where a.a = b.b(+);
a | b
--+-----
1 | null
2 | null
3 | 3
4 | 4

Right outer join

Right outer join의 결과는 B의 모든 행과 A에서 같은 행을 다음과 같이 표시할 것입니다.

select * from a right outer join b on a.a = b.b;
select a.*, b.* from a,b where a.a(+) = b.b;

a    | b
-----+---
3    | 3
4    | 4
null | 5
null | 6

Full outer join

Full outer join은 A와 B의 합집합 즉 A와 B의 모든 행을 리턴할 것입니다. 만약 B 내의 데이터와 ㅅㅇ응하는 데이터가 A에 없을 때, B의 자리에는 null이 차지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 입니다.

select * from a full outer join b on a.a = b.b;

a    |   b
-----+-----
1    | null
2    | null
3    |   3
4    |   4
null |   6
null |   5

'#개발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수와 관계해석  (0) 2021.07.15
데이터 무결성  (0) 2021.07.14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단계  (0) 2021.07.14
스키마 정의 및 종류  (0) 2021.07.14
병렬 데이터베이스의 분할 기법  (0) 2021.07.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