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개요

  • 네트워크 구성요소
  • 토폴로지
  • 규모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 계층 구조 이해해서 계층별 기능과 프로토콜 필요성 이해

네트워크 구성요소

  • 노드(장치) + 링크
  • 장치: PC, 서버, 라우터, 스위치
  • 링크: 유선, 무선

좋은 네트워크 조건

  1. 성능
    • 처리량, 처리시간으로 측정 가능
    • 처리량(throughput):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시간당의 데이터의 양
    • 지연시간(delay): 경유시간, 응답시간, 왕복시간
      • 경유시간: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가 전달 되는데 걸리는 시간
      • 응답시간: 요청과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
      • 왕복시간(RTT; Round Trip Time):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
  2. 신뢰성
    • 장애빈도, 장애 발생 후 회복시간, 재난에 대한 견고성 등으로 측정 가능
  3. 보안성
    • 불법적인 침입이나 정보유출에 대한 보안 확보

링크 연결 형태

링크의 연결 형태를 유/무선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링크는 데이터를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경로
  • 일대일 연결, 멀티포인트 연결로 나뉜다.
  • 멀티포인트: 여러 노드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한 형태

네트워크 토폴로지

  •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인 장치와 링크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가를 의미 = 장치와 링크의 연결 형태

  1. 성형
    • 각 장치가 중앙의 장치에 일대일 연결되어 통신하는 형태
  2. 버스형
    •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장치들이 연결되어 각 신호가 전체에 전달되는 형태
    • 타고다니는 버스와 상관 없음. 컴퓨터 구조의 버스와 연관
  3. 링형
    • 장치들이 링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가 링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전달
  4. 그물형
    • 세 가지 형태가 아니면 그물형으로 분류

네트워크 분류

  • 네트워크 분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유무선으로도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크기, 소유권, 구조 등에 의해서 분류
  • 일반적으로 LAN, MAN, WAN으로 분류
  1. LAN
    • 보통 한 사무실, 건물, 캠퍼스, 회사 등에서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며,
    • 개인적으로 소유 가능
    • 범주를 특정할 순 없지만 가까운 거리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노드와 링크들
  2. MAN
    • 도시 정도의 크기를 포함하는 규모
  3. WAN
    • 지역적으로 ㄴ럽은 범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
    • 여러 네트워크가 연결되는 경우를 인터넷

네트워크 모델과 표준 프로토콜

  • 계층화
  • 모델
  • 프로토콜

계층화

  • 독립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 특정 계층에 문제가 생겼을 때, 특정 계층만 바꾸면 된다.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사람간의 대화에도 계층이 존재한다.
  • 만약 언어가 부족하면 언어 공부를, 귀가 좋지 않으면 보청기를 끼우는 식으로 대처가 가능하다.
  • 인터넷의 속도가 빨라진다하면 속도와 관련된 장치만 교체하면 되지, 컴퓨터의 다른 내용을 바꾸지 않는다.

모델

  • 사람의 대화는 3개 계층으로 나누는 것처럼, 몇 개의 계층으로 나누는지에 대한 모형을 의미한다.

OSI 7계층

  • OSI 7계층. 인터넷이 나오면서 거의 사용 안 함

TCP/IP

  • 인터넷에서는 프로토콜. 인터넷 모델이라고도 함
  • 5개의 계층으로 나눈다.
  • 기계와 기계가 정보를 주고 받을 때

1. 물리 계층

  • 장치 연결 부분의 물리적인 특성을 명시
  • 비트의 전기적 혹은 광학적 표현
  • 데이터 속도, 비트의 동기화, 토폴로지, 전송 모드, 선로 구성 등에 관한 사항
  • 메시지 포맷 존재X. 비트의 나열로 보고 쏜다.

2. 데이터링크 계층

  • 이 계층부터 메시지 포맷이 나타남. 헤더가 존재
  • 프레임화, 송수신 주소 명시, 흐름제어, 에러제어, 접근 제어 등
  • 가장 중요한 기능은 에러 제어
  • 에러제어: 비트에 대한 에러 검출과 복구
    • 0을 보냈는데 1을 받는 경우 처럼. 여러가지 잡음 때문에 데이터 손상으로 인한 에러를 검출하고 복구
  • 흐름제어: 수신 측과 송신 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
    • 호름 조절. 데이터를 빠를 경우 데이터가 넘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조절
  • 접근제어: 여러 장치들이 동일한 링크를 공유할 때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

3. 네트워크 계층

  • 가장 중요한 기능은 ⭐라우팅
  • 초기 송신지에서 최종 수신지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으로 송수신 주소를 명시하고 라우팅을 수행
  • 라우팅: 패킷을 최종 목적지로 보내는 여러 경로가 있는데, 그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경로 설정)

4. 전송계층

  •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로 데이터를 전달(⭐end to end)
  • 내 컴퓨터 안에 여러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 누구한테 보내는가를 결정하는 것
  •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주소지정
  • 메시지를 세그먼트단위로 분할 및 조립
    • 큰 용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기에 부담스러우므로 분할해서 보내는데 이를 다시 조립하는 역할을 수행
  • 연결제어
    • 연결형비연결형으로 선택해서 보낼 수 있다.
  • 종단간 흐름제어
  • 종단간 에러제어를 수행
    • 분할된 데이터가 깨지는 문제를 다룸

5. 응용 계층

 

  •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계층
  • 파일을 송수신하는 FTP
  • 원격지 접속 하는 Telnet
  • 전자우편을 주고받는 SMTP
  • 하이퍼텍스트를 지원하는 HTTP

프로토콜

  • 프로토콜 = 규칙
    • 프로토콜이란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이용되는 규칙의 집합
  • 표준 프로토콜
    • 하나로 정해놓고 쓰자해서 합의된 규칙을 의미
    • 표준화 기구
      • 표준 프로토콜로 정의하는 곳. ISO, ITU-T, ANSI, IEEE, EIA 등이 존재
    • De jure 표준De facto 표준으로 구분
      • De jure: 표준화 기구가 공식적으로 표준으로 규정한 것
      • De facto: 사실상 표준으로서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표준으로 채택된 것

'시스템관리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무선 LAN과 네트워크 연결장치  (0) 2021.07.24
3.LAN 매체와 유선 LAN  (0) 2021.07.23
2.스위칭과 다중접속 프로토콜  (0) 2021.07.23
네트워크 구성형식  (0) 2019.02.23
VPN의 정의와 구성요소  (0) 2019.02.23

 

 

1. jre, jdk 설치 명령어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re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2. 자바 설치 확인 명령어

java -version
javac -version

 

3. 디폴트 자바 설정 명령어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만약 여러 종류의 자바 설치되어 있다면 위 명령어를 통해 디폴트 자바를 설정할 수 있다.

현재는 1개의 자바만 설치되어 있어 명령어를 실행하면 위처럼 나온다.

그 이상 자바가 설치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된 자바 리스트가 출력 된다.

 

 

openjdk, oraclejdk 차이

openjdk - 오픈소스기반 jdk

oracle jdk 상업적 소스 기반 jdk(오라클 사 유료 플러그인 제공)

 

4. 자바 환경변수 설정

어떤 위치에서든 명령어를 통해 자바를 실행하기 위해서 자바 환경변수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4-1. javac 위치 확인

which javac
readlink -f /usr/bin/javac

readlink : 심볼릭 링크의 원본 파일 확인
readlink -f : 심볼릭 링크를 따라 최종의 파일을 절대경로로 반환

4-2. /etc/profile에서 환경변수 설정

sudo vi /etc/profile

 

다음을 추가한다.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8-openjdk-amd64
export PATH=$JAVA_HOME/bin:$PATH
export CLASS_PATH=$JAVA_HOME/lib:$CLASS_PATH

(esc -> wq! 를 입력하고 빠져 vi를 빠져 나온다.)

 

 

5. source명령어를 통해 profile 스크립트 파일을 reload한다.

source /etc/profile
source 명령어는 스크립트 파일을 수정한 후에 수정된 값을 바로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6. 우분투 서버를 재시작한다.

sudo reboot now

 

7. 환경변수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echo $JAVA_HOME
$JAVA_HOME/bin/javac -version

 

'시스템관리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버전 확인 방법, 비트 확인 방법  (0) 2020.11.26

+ Recent posts